전산쟁이의 카피질

뒤로 검색

GTX 정말 하게 될까?

2009/12/18 17:58

GTX 대 도심 지하도로
 2009-12-18 16:17:01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서울 및 수도권 지하철보다 40~60m깊은 깊이에 길을 내는 소위 `대심도 교통망`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 4월 경기도와 서울을 연결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추진 계획을 발표했으며 서울시는 지난 8월 지하도로(U-smart way) 건설 구상을 밝혔다. 경기도의 GTX와 서울시의 지하도로 차이점을 살펴본다.

◇ 오세훈·김문수, 지하도로·GTX 놓고 `맞대결`

경기도가 추진 중인 GTX노선은 고양 킨텍스~동탄신도시(74.8㎞), 의정부~군포 금정(49.3㎞), 청량리~인천 송도(49.9㎞) 등 3개 노선으로 구성된다. GTX가 개통되면 강남과 일산을 20분대에 오가는 등 경기도에서 서울로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경기도는 기대하고 있다.

경기도는 GTX 사업안을 지난 4월 국토해양부에 제안했다. 국토부는 현재 교통연구원에 의뢰, GTX의 경제적 타당성 등을 검토 중이다. 사업 추진 여부는 내년 초에 결정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도심을 남·북간 3개축 동·서간 3개축의 총 6개 노선으로 구성해 서울의 땅밑을 거미줄처럼 잇는 지하도로망을 2020년까지 완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남북 3개축 노선은 ▲시흥~도심~은평 ▲양재~한남~도봉 ▲세곡~성수~상계 노선이다. 동서 3개축 노선은 ▲상암~도심~중랑 ▲신월~도심~강동 ▲강서~서초~방이 노선이다.

서울시는 지하도로망이 구축되면 서울 전역을 30분대에 이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상교통량의 21%가 지하도로망으로 흡수돼 지상도로의 통행속도도 8.4km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하도로 6개 노선 중 민자방식으로 추진되는 4개 노선(동서 1·2축 남북 1·2축)의 경우 2011년 발주, 2014년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재정사업으로 건설되는 동부간선 지하화 구간(남북 3축)도 이르면 2011년 발주할 예정이다.

◇ 천문학적인 공사비용 `부담`

경기도는 GTX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면 13조9039억원, 민자사업일 경우에는 11조1231억원의 재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재정사업은 지자체가 2조7808억원(사업비의 20%)를 조달해야 하지만 민자사업은 7897억원(사업비의 7.1%)만 지자체가 분담하면 된다.

문제는 추후 공사비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 소음·진동을 줄이고 공사 안전성 확보를 위해 기계굴착방식을 적용할 계획이다. 일반적인 발파공법(NATM)에 비해 기계굴착공법(TBM)은 장비가 고가인 데다 가동율이 떨어질 경우 공사비 상승이 불가피하다.

서울시의 지하도로에는 11조2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의 경우 공적자금을 투입해 건설하고 나머지는 민간자본 유치를 통해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1개 노선별로 2조원 안팎의 막대한 자금이 들고 사업성도 불투명해 참여 건설사들이 많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경기도의 GTX와 서울시의 지하도로 모두 사업에 앞서 선결해야 할 문제들이 적지 않다.
GTX와 지하도로 모두 지하 40~60m에 건설되는 만큼 환·배기 시스템, 방재 시스템을 충분히 갖춰야 한다.

사업의 경제성도 논란거리다. 지하 깊숙한 곳에 교통망을 구축하면 공사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토지보상비가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대신 지하로 가면 공사비가 늘어나고 안전시설을 구축하는 비용이 추가로 필요한 만큼 경제성을 잘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페이지는 Textcube 1.10.0 : beta 1 로 구동됩니다 데스크탑 화면